CLS Global FZC LLC는 유동성을 제공하여 새로운 프로젝트 토큰 거래를 지원한다고 주장하는 UAE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시장 조성자입니다. CLS Global은 2024년 8월 23일부터 9월 18일까지 "NexFundAI" 암호화폐 자산의 시장 조작, 세탁 거래를 통한 허위 거래량 생성, 투자자들의 매수 유도 등의 혐의를 받았습니다. SEC는 "NexFundAI"가 증권이며, 그 행위가 1933년 증권법과 1934년 증권거래법의 사기 방지 및 시장 조작 조항을 위반했다고 결정했습니다.

SEC 조사에 따르면, CLS Global은 30개의 지갑을 이용해 740건의 워시 트레이드를 실시하여 약 60만 달러의 허위 거래량을 만들어냈으며, 이는 같은 기간 총 거래량의 98%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거래는 시장 활동의 환상을 만들어내고 소매 투자자를 유치하도록 설계된 알고리즘과 로봇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더욱 아이러니한 점은 이러한 조작이 "NexFundAI"의 홍보자들이 고용한 "마케팅 서비스"였고, 이를 통해 CLS Global은 수익을 낸 반면 프로젝트 소유주와 투자자들은 손실을 입었다는 것입니다.

I. 법적 조치 및 판결

2024년 10월 9일, SEC는 CLS Global과 그 직원인 Andrey Zhorzhes를 상대로 민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사건 번호 1:24-cv-12590-AK). 한편, 매사추세츠 지방 검찰청은 두 사람을 시장 조작과 전신 사기 혐의로 형사 고발했습니다. 이 작전은 암호화폐 시장의 혼란에 맞서기 위한 연방수사국(FBI)의 "피싱" 작전의 일환입니다.

2025년 4월 7일, 민사 소송은 최종 판결을 받았고 CLS Global은 다음을 수행해야 했습니다.

  • 지불된 벌금: 민사 벌금 425,000달러, 불법행위 배상금 3,000달러, 판결 전 이자 80.39달러;
  • 행동 제한: 고객이 30일 이내에 미국인 또는 미국 법인이 아님을 확인하고, 45일 이내에 규정 준수 정책을 시행하고, 향후 3년 동안 매년 규정 준수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 벌금 상쇄: 형사소송에서 벌금을 낸 경우, 민사상 벌금과 상쇄될 수 있습니다.

안드레이 조르제스에 대한 민사상 벌금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형사 소송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있어 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CLS 글로벌 사건은 최근 몇 년 동안 SEC가 암호화폐 시장 조작에 맞서 취한 획기적인 집행 조치 중 하나입니다.

2. 마켓메이커의 혼란: 대출옵션 모델에서 워시 트레이딩까지

CLS Global의 세탁 거래는 암호화폐 시장 조성자들의 약탈적 행위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아이잉의 이전 글에서 분석한 "대출 옵션 모델"의 혼란은 이 사례와 유사하며, 두 모델 모두 시장 불투명성과 프로젝트 당사자의 경험 부족이라는 약점을 이용합니다.

대출 옵션 모델의 약탈적 운영

암호화폐 시장에서 시장 조성자는 '대출 옵션 모델'을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에 유동성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시장 조성자에게 토큰을 빌려주고, 시장 조성자는 거래소에서 토큰을 사고팔아 가격을 안정시킵니다. 일반적으로 계약에는 시장 조성자가 미래에 특정 가격으로 토큰을 반환하거나 매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 조항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일부 나쁜 시장 조작자들은 이 모델을 악용합니다.

  • 빌린 토큰을 대량으로 매도하여 가격을 떨어뜨리고, 이를 통해 개인 투자자들의 공황 매도를 촉발한 뒤, 낮은 가격에 다시 매수하여 이익을 낸다.
  • 옵션 조작: 옵션 조건을 이용해 토큰을 최저가로 돌려주어 자체 이익을 극대화하는 행위
  • 정보 비대칭: 프로젝트 당사자들은 계약 위험을 이해하지 못하고, 불투명한 계약에 서명하며, 시장 조성자의 '먹잇감'이 됩니다.

이러한 행동은 소규모 프로젝트에 치명적입니다. 토큰 가격이 폭락하고, 커뮤니티 신뢰가 무너지고, 거래량이 부족하여 거래소에서 상장이 폐지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 자금 조달과 생존이 위기에 처합니다.

CLS Global의 세탁 거래

CLS 글로벌의 세탁 거래는 대출 옵션 모델의 약탈적 행동과 유사합니다. 두 가지 모두의 핵심은 시장 조성자의 역할을 이용해 시장의 환상을 만드는 것입니다.

  • 가짜 거래량: CLS Global은 자체적으로 매수 및 매도를 실시하여 "NexFundAI"가 활발하게 거래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소매 투자자를 유치했습니다.
  • 신뢰 파괴: 거짓된 번영이 무너지면 투자자들은 손실을 입으며 프로젝트의 평판은 손상됩니다.
  • 규제 허점: 워시 트레이딩은 대출 옵션 모델의 불투명한 계약과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시장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투명성이 부족한 점을 악용합니다.

또한, 해당 기사에서 언급된 "보이지 않는 칼" 계약, 유동성 "납치", 가짜 "패밀리 버킷" 서비스 등 다른 시장 조성자 루틴도 업계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소규모 프로젝트의 시장 가치가 증발하고, 지역 사회가 해체되고, 업계의 신뢰가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

3. 전통 금융의 경험: 암호화폐 시장의 "교과서"

전통적인 금융 시장도 비슷한 시장 조작 문제에 직면했지만, 성숙한 감독과 투명한 메커니즘을 통해 약탈적 행위로 인한 피해는 크게 줄었습니다. CLS 글로벌 사건은 암호화폐 산업에 경종을 울렸으며, 기존 금융의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통 금융의 대응

엄격한 감독: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칙 SHO"는 공매도를 제한하고 공매도에 앞서 주식을 차입할 수 있는지 확인하도록 요구합니다. "상향 가격 규칙"은 악의적인 가격 억제를 방지합니다. 증권거래법 제10b-5조는 시장조작을 엄중히 처벌하고 있으며, EU의 시장남용규제(MAR)도 비슷한 효과를 냅니다.

정보 투명성: 상장 기업과 시장 조성자 간의 계약은 규제 당국에 보고되어야 하며, 거래 데이터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해야 하며, 대규모 거래는 보고되어야 하므로 불투명한 운영의 여지가 줄어듭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거래소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비정상적인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조사를 시작합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할 때 공황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거래를 중단합니다.

산업 규정: 미국 금융산업규제기관(FINRA)은 시장 조성자에 대한 윤리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NYSE가 지정한 시장 조성자(DMM)는 엄격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투자자 보호: 집단 소송과 증권 투자자 보호 기업(SIPC)은 투자자에게 책임과 보상을 위한 채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다단계 보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존 시장에서 시장 조성자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합니다. 예를 들어, 2008년 금융 위기 당시 은행 주식의 악의적 공매도 사건은 SEC(증권거래위원회)에 의해 신속히 조사되었고, 여러 기관에 벌금이 부과되었으며 감독을 개선하라는 요구가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