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낸시, PANews

최근 RFC, House, TROLL 등 새로운 MEME 코인이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말도 안 되는 것, 부조리, 심지어 블랙 유머까지 가득한 이런 밈 문화는 Z세대가 선호하는 추측 도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금융 시스템과 사회적 규칙에 반항하는 젊은이들의 감정을 담아내며 시대적 특징이 뚜렷한 대안적 금융 문화 풍경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Z세대의 '재정적 반란', MEME 코인에 베팅해 상황 반전 노려

며칠 전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젊은 미국인들 사이에서 조용히 나타나고 있는 금융 트렌드가 밝혀졌습니다. 점점 더 많은 Z세대가 MEME 코인을 "미국 꿈"을 실현하기 위한 대안적 경로로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높은 주택 가격, 학자금 대출 증가, 임금 상승 둔화 등의 현실적 압박으로 인해 전통적인 부자가 되는 방법(주택 구매 및 은퇴 자금 마련 등)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 대한 이러한 실망은 대중의 부의 "반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기존의 금융 관리 도구와 비교했을 때, 이 세대는 하룻밤 사이에 부자가 되기를 바라면서 몇백 달러에 불과하더라도 변동성이 큰 MEME 코인 시장에 투자할 의향이 더 큽니다.

해당 기사에서는 젊은 미국인들이 노년층보다 암호화폐 분야에 훨씬 더 많이 참여하고 있다는 데이터를 인용했습니다. 18~29세 남성의 42%가 암호화폐 활동(투자, 거래 또는 사용)에 참여한 반면, 여성은 17%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50세 이상의 경우 남성은 11%, 여성은 5%에 불과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여러 가지 실제 사례를 통해 이러한 추세의 현실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25세의 유비아 멘도사는 다음의 "Roaring Kitty"가 되어 파산한 레스토랑 체인인 후터스를 구하기 위해 관련 토큰을 만들기를 희망합니다. 그녀는 토큰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사용해 웨이터에게서 티셔츠를 구매한 적이 있습니다. 결국 코인 가격은 폭락했지만, 그녀는 MEME 코인 서클에서 계속 활동하며 잠재적인 부의 폭발적 증가 시점을 포착하기 위해 다른 프로젝트로 전환했습니다.

암호화폐 헤지펀드 Asymmetric의 창립자이자 CEO인 조 맥캔은 일부 Z세대의 "금융적 허무주의"가 그들을 암호화폐 세계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학자금 대출의 높은 부채에 시달리고 부모와 함께 살 가능성이 더 높은 이 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401(k) 저축에 대한 걱정이 적고, 오히려 MEME 코인에 수백 달러를 걸고 싶어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최근 ETHDenver 컨퍼런스에서 27세의 베로니카 서튼은 밝은 빨간색 "Make America Great Again" 모자를 쓰고 오늘날의 "미국의 꿈"은 과거와 다르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부모님의 장기 부채를 보고,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대학에 가서 돈을 낭비했다는 생각이 들어, 최종학년 때 중퇴를 결정했습니다. "저는 대학을 정말 좋아했고, 대학에 간 것을 후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학자금 대출 2만 달러는 후회합니다."

비슷한 상황이 한국에서도 일어났습니다. 오랫동안 높은 주택 가격, 부채 압박, 취업난에 시달려 온 "진흙삽 부족" 역시 MEME를 반격의 기회로 여긴다. 얼마 전, 국내 기관 DeSpread와 CoinNess가 3,108명의 한국 암호화폐 투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된 후 한국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한 신규 투자자가 약 3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의 한국 투자자들은 DEX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MEME 코인의 투자 비중은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주로 CEX(중앙화 거래소)에서 이러한 코인을 활발하게 상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빗썸, 업비트 등 한국의 주요 거래소에서는 DOGE, TRUMP, PENGU, PEPE, BONK 등 인기 있는 MEME 코인을 출시했습니다. (관련 자료: 암호화폐 투자 열풍: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시장 중 하나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오늘날 소셜 미디어와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완화에 힘입어 이러한 형태의 "엔터테인먼트 과대광고" 투자가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으며, 이번 달에는 트럼프 대통령 자신이 TRUMP MEME 동전을 소지한 백만장자들을 위한 만찬에 참석하기도 했습니다.

아이러니에서 반항까지, MEME 코인의 감성적 금융 이야기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세계에서 MEME 코인은 복잡한 감정적 공감과 집단적 아이디어를 최소한의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달하고 전달합니다. 최근의 밈 열풍 속에서, 여러 인기 밈 코인이 감동적인 이야기를 담아 Z세대에게 빠르게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러한 MEME 코인은 강력한 서사적 긴장감과 높은 커뮤니티 참여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체계적 불의에 맞서 싸우고 자신의 태도를 표현하기 위해 암호화폐 문화를 사용하는 젊은 미국인의 문화적 반항을 반영하기도 합니다.

RFC

젊은 미국인들의 '재정적 반란': MEME에 베팅해 상황을 반전시키고, 풍자적 밈 코인이 인기를 얻고 있다

RFC는 정치 풍자 계정인 Retard Finder에서 출시되었으며 머스크의 고빈도 상호작용 덕분에 빠르게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 스토리는 인터넷 밈 문화의 반항적인 정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IfindRetards를 태그하여 어리석은 댓글을 "신고"하도록 독려하며,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주류 스토리에 대한 의심을 표현합니다. 이 계정의 내용은 주로 우익 정치 풍자, 이민 정책 조롱, 환경 보호주의, '깨어난 좌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RFC는 단순한 재정적 자산을 넘어 주류 미디어와 엘리트 담론에 대한 디지털 "문화적 반란"으로 진화했습니다.

GMGN 데이터에 따르면 RFC는 출시 후 2개월도 채 되지 않아 시장 가치가 약 1억 5천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젊은 미국인들의 '재정적 반란': MEME에 베팅해 상황을 반전시키고, 풍자적 밈 코인이 인기를 얻고 있다

"1 하우스 = 1 하우스코인"은 솔라나의 MEME 코인 하우스의 상징적인 슬로건입니다. 이 책의 핵심 서사는 전 세계적으로 악화되는 주택 위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현대 젊은이들이 겪는 실제적 어려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급등하는 주택 가격, 정체된 소득 성장, 점점 더 강화되는 계층 구조로 인해 젊은이들은 일반적으로 "주택 구매의 어려움"에 대한 큰 압박감을 느낍니다. 하우스는 터무니없지만 직설적인 서사 스타일을 사용하여 현재 부동산 시장의 체계적 불의를 풍자함으로써 현상 유지에 실망하고 자신의 태도를 표현하고자 하는 많은 젊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GMGN 데이터에 따르면, 5월 6일 기준 House의 시장 가치는 출시 후 한 달 남짓 만에 1억 2,00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트롤

젊은 미국인들의 '재정적 반란': MEME에 베팅해 상황을 반전시키고, 풍자적 밈 코인이 인기를 얻고 있다

트롤(TROLL)은 인터넷 역사상 가장 상징적인 밈 중 하나인 트롤페이스(Trollfac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초기 인터넷의 자유, 혼란, 권위주의 반대 정신을 상징합니다. 이 로고는 2008년 예술가 카를로스 라미레스(애칭 "와이네")가 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그의 분노에 찬 만화책 "트롤"에 등장하여 인터넷 "트롤"의 행동을 풍자했으며 온라인 패러디와 유머의 고전적인 상징이 되었습니다. TROLL은 이런 복고적 감성을 영리하게 포착하여 밈의 역사에 익숙하고 인터넷 하위 문화에 관심이 많은 젊은 사용자를 끌어들였습니다.

GMGN 데이터에 따르면 5월 6일 현재 TROLL의 시장 가치는 거의 4,200만 달러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니트

니트(NEET)라는 단어는 "교육, 취업, 훈련 중이 아님"을 뜻하는 단어로, 취업도 하지 않고,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는 16~24세 청년층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본에서는 이 개념이 일하지 않고, 공부하지 않고,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15~34세의 사람들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으며, 종종 "고향 문화" 또는 "은둔자"(히키코모리)와 연관됩니다. $neet의 서사의 핵심은 전통적인 노동과 사회적 규범에 대한 반항이며, 이러한 사회 현상을 아이러니한 문화적 상징으로 변형시켜 "누워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또는 "부모에게 의지하여 사는" 삶의 태도를 나타내며 현대의 경제적 압박을 받는 일부 젊은이들의 심리적 공감을 충족합니다.

GMGN 데이터에 따르면, 4월 말 출시 이후 $neet의 시장 가치는 2,100만 달러를 돌파하며 정점을 찍었습니다.

드라

젊은 미국인들의 '재정적 반란': MEME에 베팅해 상황을 반전시키고, 풍자적 밈 코인이 인기를 얻고 있다

DRA는 사회경제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 유머러스한 표현이기도 합니다. 이 책의 서사는 전통적인 연금 제도에 대한 풍자적 대응인 분산형 은퇴 계좌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미국의 401K 플랜 등)의 연금 제도에 대한 젊은 세대의 불신과 "연금 사기"에 대한 비판적 감정을 반영합니다.

GMGN 데이터에 따르면 DRA는 5월 4일 출시 이후 시장 가치가 760만 달러를 돌파하며 정점을 찍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