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작성자: xparadigms

기사 번역: 블록 유니콘

주요 내용

  • USDT는 시가총액이 지난해 800억 달러에서 1,440억 달러로 늘어나면서 지배적인 스테이블코인이 되었지만, 다른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에 따라 시장 지배력은 70%에서 61%로 떨어졌습니다.
  • Tether USDT는 기본적으로 약 12개의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반면, 브리지 버전의 USDT는 80개가 넘는 블록체인에 존재합니다. 이는 타사 브리지에 대한 의존성과 Tether의 직접적인 감독 부족으로 인해 추가적인 위험과 관리상의 어려움을 야기합니다.
  • 테더는 수평적 전략(크로스 체인 전송을 위해 LayerZero OFT를 사용하는 USDT0 멀티 체인 토큰 등)과 수직적 전략(Arbitrum과 비트코인 ​​사이드체인 Plasma를 지원하는 Legacy Mesh 등)을 통해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여 유동성을 통합하고 전담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호운용성이 확장을 위한 첫 번째 단계가 되었습니다. LayerZero는 사용자 정의 가능한 인프라와 광범위한 블록체인 지원을 제공하여 이러한 크로스체인 성장 전략의 주요 진입점이 됩니다.

머리말

USDT는 미국 달러를 온체인으로 가져와 글로벌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합니다. 시가총액이 1,40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세계 최대의 스테이블코인이 되었습니다. 과거에 담보 부족과 관련된 수많은 소문에도 불구하고, 이 코인은 선도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해 왔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Tether USDT의 시가총액은 800억 달러에서 1,440억 달러로 늘어났으며, 이는 지난 1년 동안 80% 증가한 수치입니다.

USDT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동안 다른 스테이블코인도 확장되고 있어 USDT의 시장 지배력은 지난해 70%에서 61%로 떨어졌습니다.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USDT는 LayerZero OFT로 구동되는 멀티체인 토큰인 USDT0를 구현하고, Legacy Hub와 Plasma를 핵심으로 하는 허브를 구축하는 등 크로스체인 기능을 확장하는 과감한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그들은 과거의 과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먼저 그들이 직면한 문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테더의 USDT 확장 계획에 대한 문제점

1.1 Tether USDT는 12개의 체인만 지원합니다.

USDT0: 테더 스테이블코인 제국 확장의 새로운 노드

 출처: Tethre 공식 지식 기반 | 지원 프로토콜 및 통합 가이드

2014년, 테더가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T가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옴니 레이어 프로토콜에서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Tether는 Ethereum(ERC-20), Tron(TRC-20), Binance Smart Chain(BEP-20), Solana(SPL) 등 다른 주요 블록체인으로 USDT 발행을 확대했습니다. 2025년 초 현재, 테더는 약 12개의 블록체인에서 USDT를 기본적으로 지원합니다. 하지만 DeFiLlama의 데이터에 따르면 USDT는 80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존재합니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블록체인 중 50개 이상이 USDT 가치가 100만 달러를 초과하고, USDT 거래량 기준 상위 30개 블록체인 중 17개가 기본 지원이 아닌 토큰의 브리지 버전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USDT가 블록체인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지 않는 경우, Tether는 해당 체인에서 USDT를 직접 발행하거나 상환하지 않습니다. 대신, 제3자 브리지는 지원되는 체인에서 기본 USDT를 잠그고 새로운 블록체인에서 해당 "래핑" 또는 "브리지" 버전을 발행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로 인해 브리지 버전 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고 위험이 한층 더 커집니다. USDT 브리지의 보안과 안정성은 Tether 자체가 아닌 제3자 브리지 운영자에게 전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브리지가 해킹당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브리지된 USDT를 잃을 수 있으며, 테더는 이러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블록체인의 USDT만이 Tether에 의해 직접 지원되고 상환될 수 있으므로, 브리지된 USDT를 보유한다는 것은 브리지의 지불 능력과 보안에 의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테더는 사용량이 적거나 보안 문제가 있어 여러 블록체인에서 USDT 주조를 중단했습니다. 여기에는 Bitcoin의 Omni Layer, Kusama의 AssetHub, Bitcoin Cash의 Simple Ledger Protocol(SLP), EOS의 EOSIO.TOKEN, Algorand가 포함됩니다. 제한된 기간 동안은 환매가 가능할 수 있지만, 이러한 네트워크에서는 새로운 USDT 토큰이 발행되지 않습니다.

USDT는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사용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Tether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블록체인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다른 모든 체인에서는 사용자가 USDT의 브리지 버전을 사용하여 상호 작용하는데, 이는 기본 토큰에는 적용되지 않는 추가적인 위험을 수반합니다.

1.2 USDT 브리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USDT0: 테더 스테이블코인 제국 확장의 새로운 노드

 출처: Tether: 순환 및 통계 - DefiLlama

현재 이더리움에서 유통되는 USDT의 규모는 약 649억 4천만 달러이며, 이 중 약 80억 달러 상당의 USDT가 다른 블록체인에 브리지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에서는 약 52억 달러 상당의 USDT가 BSC 브릿지를 통해 발행되었습니다. 또한 Arbitrum, Polygon, Optimism, Mantle 등 몇몇 주요 Layer 2 네트워크는 USDT 전송을 위한 자체 네이티브 브리지를 운영합니다. Fantom, Kaia, Sui를 포함한 다른 레이어 1 블록체인은 체인 간 USDT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타사 브리지를 사용합니다.

테더의 관점에서 볼 때, 브리지 USDT의 성장은 상당한 관리상의 과제를 제기합니다. 테더는 자체 지원 네트워크에서 발행하는 USDT만 직접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USDT가 제3자 브릿지를 통해 다른 체인과 연결되면 Tether는 이러한 토큰에 대한 직접적인 보관 권한을 잃게 됩니다. 이러한 분열로 인해 Tether는 점점 더 다양한 블록체인과 브리지 프로토콜에서 총 공급량을 추적하고, 규정 준수를 보장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브리지형 USDT의 등장으로 암호화폐 생태계의 유동성과 상호 운용성이 향상되었지만, 발행자인 테더는 새로운 복잡성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1.3 테더가 트론으로 가치를 유출하고 있습니다.

USDT0: 테더 스테이블코인 제국 확장의 새로운 노드

 출처: 트론 가스 사용량 | 토큰 터미널

스테이블코인은 온체인 금융의 핵심으로, 결제, 거래, 대출을 위한 주요 매체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트론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스테이블코인 관련 거래가 온체인 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USDT만 해도 트론 네트워크의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의 98% 이상을 차지하며, 거의 모든 거래량을 차지합니다.

현재 트론의 스테이블코인 총 시가총액은 715억 달러이며, 그 중 USDT가 709억 달러 이상의 유통량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USDD, TUSD, USDC 등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다른 스테이블코인을 크게 앞지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배력은 너무나 완벽해서 Tron은 "USDT 체인"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거래 수수료의 98%, 거래의 99%가 USDT 전송으로 이루어집니다. 그 결과, 트론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연간 25억 달러 이상의 수수료 수입을 얻습니다.

하지만 이는 중요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USDT를 발행하는 테더가 자체 블록체인을 출시하여 거래 수수료뿐만 아니라 현재 트론으로 흘러드는 생태계 가치까지 포착한다면 어떨까요? 테더는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수십억 USDT를 신속하게 발행하고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블록체인 간의 공급을 자주 조정하여 비용과 효율성을 최적화했습니다. Tether가 주요 중앙 집중형 거래소(현재 Tron에서 USDT의 약 30%를 보유하고 있음)에 USDT 보유량을 Tether가 운영하는 체인으로 이전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네트워크 활동과 수수료 수입이 자체 생태계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의 경제 모델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거래소와 사용자 입장에서 Tether 네이티브 체인으로 마이그레이션하면 수수료가 낮아지고, 결제가 더 빨라지며, 조기 채택자에게는 잠재적인 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테더의 경우, 이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이 창출되고 스테이블코인 환경에 대한 통제력이 강화될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이는 양측 모두에게 이로운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사용자와 거래소는 효율적인 결제를 위해 설계된 계층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반면, 테더는 현재 제3자 블록체인으로 누출되는 가치를 포착합니다. Tron과 더 광범위한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USDT가 차지하는 지배적 위치를 감안할 때, Tether가 이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는 기회는 중요하고 점점 더 실현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2. 테더의 전략 - 수평 및 수직 확장

Tether USDT가 직면한 문제에는 두 가지 잠재적인 해결책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300개가 넘는 기존 블록체인에 더 나은 크로스체인 전략을 구현하여 수평적 확장을 이루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인프라 스택을 소유하여 확장하여 더 많은 가치를 확보하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2.1 USDT0 — LayerZero OFT를 사용한 수평 확장

USDT0: 테더 스테이블코인 제국 확장의 새로운 노드

 출처: LayerZero Scan

테더는 USDT0이라 불리는 USDT의 멀티체인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이제 토큰은 LayerZero의 OFT 토큰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다른 블록체인이나 롤업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한 달 전 출시 이후 총 잠금 가치(TVL) 유통 공급량은 9억 7,100만 달러이고 총 크로스체인 거래량은 3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제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에 USDT를 보내는 비용이 그 어느 때보다 낮아졌습니다.

이는 LayerZero의 OFT 표준을 통해 가능해졌는데, 이 표준을 사용하면 소스 체인에서 토큰을 잠그거나 파기하고 다른 체인에서 발행할 수 있습니다. USDT는 Ethereum, Tron, TON과 같은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체인에 잠글 수 있으며, Arbitrum, Optimism, Berachain과 같은 지원되지 않는 체인에 USDT0으로 발행될 수 있습니다. 지원되지 않는 체인 간의 전송의 경우, 시스템은 파괴 및 주조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본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줄이는 동시에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프로비저닝 관리를 간소화합니다.

USDT0: 테더 스테이블코인 제국 확장의 새로운 노드

 출처: USD₮0 메커니즘 설계 검토 | 카오스 랩스

LayerZero는 "발급자 중심의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고 USDT0의 크로스체인 운영은 USDT0 DVN과 LayerZero DVN이라는 두 기관에 의해 검증됩니다. 즉, 크로스체인 전송은 USDT0 발행자가 운영하는 인프라의 승인을 받아야만 가능합니다.

USDT0가 새로운 체인을 지원하려면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LayerZero가 해당 체인을 지원해야 하고, 팀에서 해당 체인에 대한 DVN 라우팅을 찾거나 지원을 시작해야 합니다. 현재 LayerZero는 대부분의 주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약 131개의 메인넷을 지원하므로 USDT0의 확장은 이제 기술적 장애물이라기보다는 전략적 결정에 가깝습니다.

2.2 레거시 메시 및 플라즈마 - USDT를 위한 허브 구축

테더는 USDT0를 위한 레거시 메시 구축과 비트코인 ​​사이드체인 Plasma라는 두 가지 핵심 이니셔티브를 지원하여 수직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레거시 메시는 기존 USDT 배포를 USDT0(기본 USDT 지원이 부족한 체인을 위한 멀티체인 버전)와 연결하는 중앙 네트워크 역할을 합니다. Arbitrum은 유동성 풀을 집계하고 LayerZero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체인 간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중앙 허브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rbitrum, Ink, Berachain 등 USDT0 지원 네트워크를 통해 Ethereum, Tron, TON 간에 자산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Arbitrum은 Ethereum, Tron, TON과 연결되어 USDT 공급량의 98%를 통합하고, Legacy Mesh는 기존 및 신규 블록체인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응집력 있는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두 번째 이니셔티브인 Plasma는 지불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비트코인 ​​사이드체인을 구축하여 더 과감한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USDT0는 출시 첫날부터 Plasma에서 지원되며 Ethereum, Tron, TON의 USDT와 직접 연결됩니다.

Legacy Mesh와 Plasma는 함께 USDT를 위한 포괄적인 유동성 및 생태계 허브를 만들어냅니다. Arbitrum은 유동성 백본 역할을 하는 반면, Plasma는 거래 처리량을 최적화하고 자체적인 dapp 생태계를 개발합니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를 통해 USDT는 유동성과 응용성 측면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USDT0: 테더의 스테이블코인 제국 확장의 새로운 노드

 출처: 레거시 메시 소개: 이제 USDT를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USD₮0

3. 상호운용성은 스테이블코인 확장 전략의 "첫 단계"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를 준세계적 통화로 만들고, 상호운용성은 스테이블코인을 진정한 세계적 통화로 만듭니다. 블록체인 생태계가 300개가 넘는 네트워크로 확장됨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의 사용 사례와 사용자 기반은 점점 더 분산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경우 초기에는 단일 체인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성장과 도입을 위해서는 토큰이 여러 블록체인 간에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크로스체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미국 최초의 완전 비축형 국가 발행 스테이블코인인 와이오밍 스테이블코인(WYST)입니다. LayerZero와 협력하고 OFT 표준을 채택함으로써 WYST는 Ethereum, Avalanche, Solana 등 여러 주요 블록체인에서 발행되고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 운용성은 WYST의 사용자 기반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거래하거나 결제해야 하는 기관과 개인의 경험을 개선합니다.

WYST 사례는 더 광범위한 산업 추세를 보여줍니다. 즉, 상호 운용성 전략은 유통 전략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이 점점 더 널리 채택됨에 따라, 맞춤형 인프라와 광범위한 체인 지원을 갖춘 LayerZero는 크로스체인 확장의 관문이 되어, 발행자가 효율적으로 새로운 시장과 사용 사례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USDT0: 테더 스테이블코인 제국 확장의 새로운 노드

 출처: 상호운용성을 통한 아시아의 스테이블코인 개발 가속화 | 네 개의 기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