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6일 코인니스 저녁 뉴스 브리핑
[단독. 일명 '알리바바 코인', 미디어 대상 손해배상 청구 패소]
국내에서 일명 '알리바바코인'으로 알려져있는 ABBC(시총 44위)가 미디어 코인크레더블을 대상으로 제기한 손해배상 및 정정보도 청구에서 패소했다. 법원은 코인크레더블(더 컨시움)이 제기한 ABBC 코인의 '업비트 거짓 상장 정보 제공' 의혹 기사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코인니스는 26일 서울지방법원의 해당 건에 대한 판결문을 단독 입수했다. 판결문을 보면 법원은 원고 ABBC 측이 피고 코인크레더블에 제기한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 원고는 피고가 게재한 기사 '업비트, 거짓 상장정보 경고...해당코인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1억원의 손해배상 ▲반론보도문 게재 ▲정정보도 게재 등을 청구했다. 그러나 법원은 ▲상장 지원 계약 체결이 거래소 상장을 담보하지 않는 점 ▲사건 변론 종결일까지 업비트에 상장되지 않은 점 ▲상장 검토 절차 관련 구체적 진행정도에 대한 자료 제출되지 않은 점들을 판단해 피고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이에 대해 "ABBC 코인이 업비트 등 거래소에 수 주 내에 상장될 것이라는 내용의 원고의 공지가 허위일 수 있음을 알린 이 사건 기사는 공공의 이해관계에 관한 사항이라고 봄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법원은 또한 이번 판결에서 "거래소 상장 여부가 암호화폐 거래 질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수 있으며, 관련 정보의 진정성 여부가 암호화폐 거래 시장 및 거래 질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앞서 코인크레더블은 ABBC의 업비트 등 글로벌 탑클래스 거래소 상장 임박 공지에 대해 거짓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로 보도한 바 있다.
[이번 주 7.5억 달러 규모 BTC 옵션 만기... 변동성 주의]
코인텔레그래프가 스큐를 인용, 이번 주 7.5억 달러 규모 BTC 옵션이 만기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BTC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CME BTC 선물 10월물 또한 30일이 결산일이다. CME 미결제약정 규모가 큰 상황이라 이번 선물 만기일은 특히 중요하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페이스북 파이낸셜 수장 "다수 은행, BTC·스테이블코인 지원 추진"]
페이팔 CEO 출신으로 현재 페이스북 파이낸셜 그룹 F2를 이끄는 데이비드 마커스가 26일 새벽 트위터를 통해 "더 많은 주류 금융 서비스 업체들이 암호화폐 대세에 편승하는 걸 보니 흥미롭다. 페이팔의 암호화폐 서비스 발표 이후 많은 은행들이 BTC와 스테이블코인 지원을 추진 중이다. 우리는 코너를 돌고 있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마커스는 리브라 연합 공동 창업자이자, 페이스북 암호화폐 지갑 노비(Novi)를 개발하는 노비 파이낸셜을 이끌고 있다.
[대형 채굴풀 CEO "하베스트 보안 수준 낮아, 이론적으로 고객 자금 가로채기 가능"]
외신에 따르면 26일 오전 커브 y 풀 공격으로 하베스트 파이낸스에서 거액의 피해가 발생한 것과 관련 대형 채굴풀 풀인(Poolin) CEO 판즈뱌오가 "하베스트가 풀인 디파이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우리의 리스크 제어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론적으로 하베스트 파이낸스는 고객 자금을 가로챌 수 있다. 타임락, 멀티시그 관리 같은 보호 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하베스트는 자금 사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빠른 스트레티지 메커니즘을 채택했지만 이는 보안성을 극도로 훼손했다"고 덧붙였다. 미디어는 이번 하베스트 파이낸스 피해액이 2300만 달러를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다.
[美 ETF 전문가 "그레이스케일 GBTC 성장 속도, 美 ETF 97%보다 빨라"]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전문가 네이트 게라치(Nate Geraci)가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 암호화폐 투자 펀드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투자 신탁 GBTC의 운용 자산 규모는 2017년 12월 이후 28억 달러 이상 증가했다. 올들어서만 20억 달러 규모가 증가했으며, 이 같은 성장 속도는 미국에 상장된 ETF의 97%보다 빠르다"고 진단했다.
댓글
추천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