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상태에서 zk-Sync 2.0은 그림의 4번에 해당하는 zk-EVM이다. zk-Sync 2.0은 자체 컴파일러로 컴파일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는 Solidity 및 기타 고급 언어로 작성할 수 있다. zk-Sync는 컴파일러 설계를 완전히 제어하므로 속도와 처리량을 위해 적극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DApp 및 EVM 디버깅 도구 체인이 zk-Sync 2.0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은 존재한다. 본질적으로 zk-Sync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자동차 프레임을 가지고 있지만 엔진은 다른 격이다.[5]

사실, zk-Sync 개발자 문서에서 Matter Labs는 스마트 계약 "읽기" 작업은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통합될 수 있지만, 스마트 계약 "쓰기" 작업에는 레이어1과 레이어2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추가 코드'가 필요할 수 있다고 전해졌다.[6] 사실 이것은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다. 이는 Layer1과 Layer2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점' 때문이 아닌, Matter Labs 가 추구하는 4번째 유형의 롤업 때문이다zk-Sync는 본질적으로 다른 컴파일러와 바이트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형4 를 기반으로 하는 롤업은 스마트 계약의 주소가 다르지만 바이트코드 분석에 의존하는 디버거 인프라는 zk-Sync 2.0 [7] 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향후 zk-Sync는 EVM 바이트코드에 대한 기본 지원을 더 추가하여 시스템이 유형3의 롤업에 해당하는 더 넓은 범위의 'Edge case'를 지원하도록 천천히 전환할 수 있다그러나 zk-Sync의 유형및 유형롤업의 경우 Polygon Hermez 및 Scroll Labs의 유형2 롤업(기본적으로 더 넓은 호환성을 위해 속도를 희생함)과 비교하여 성공을 위해서는 두 가지 중요한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한다. 첫째, 중요하지 않은 소수의 프로젝트만 zk-Sync의 사용자 정의 컴파일러와 불호환성을 허용해야 한다. 둘째, 유형zk-EVM 과 비교하여 zk-Sync의 속도에 질적인 차이가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이것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을 것이다. 모든 고급 개발 생태계는 편의성, 모듈성, 디버깅 및 테스트 도구를 포함한 성숙한 프레임워크 인프라에 의존한다. 비탈릭 부테린이 가정하는 것처럼 대부분의 EVM 네이티브 디버깅 도구가 바이트코드의 차이로 인해 zk-Sync로 이식되지 않을 경우 zk-Sync는 자체 테스트 및 디버깅 도구 제품군을 개발해야한다. 이는 Polygon Hermez 및 Scroll과 같은 구성 가능한 유형2 zk-EVM에 비해 추가적인 개발로직이 추가되는 이유로, 레이어2 솔루션으로서 zk-Sync를 채택되는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5. zk-Rollups의 미래

현재 zk-EVM 경쟁이 가열되고 있으며 완전한 기능을 갖춘 zk-EVM을 보는 것은 시간 문제일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인프라 개발 이후이다. 아무리 도로가 잘 깔려있다 하더라도,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이 없다면 그 도로는 무용지물일 것이다. 결국 zk-Rollups의 장기적인 강점은 솔루션을 채택하는 프로젝트로 인해 발현된다.

현재 DeFi, GameFi 및 모바일 앱은 zk-Rollups 인프라의 주요 수혜자이다. DeFi와 GameFi는 모두 사용자가 많은 환경에서 성장함에 따라 근본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띈다. 모바일 지갑 및 모바일 앱은 또한 데스크톱 컴퓨터를 살 여유가 없는 사용자를 위해 좋은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을 기반으로 zk-Rollups를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그러나 이것은 결코 zk-Rollups 사용의 제한이 아니며,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zk-Rollups는 이더리움을 5G로 만들것이다. 5G가 IoT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의 새로운 세계를 가능하게 하는 것처럼 zk-Rollups는 사물 인터넷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 냉장고, 시계, 신호등 등과 같은 물리적 세계의 디지털 장치를 허용할 수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Web2 기반의 사물 인터넷에 반대하는 가장 큰 주장 중 하나는 Big Tech가 그 권위를 넘어 일상 생활에 침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Web3 기반의 사물 인터넷을 사용하면 중앙 데이터베이스에서 스마트 제품이 손상될 염려 없이, 사물 인터넷의 편리함을 곧이 곧대로 누릴 수 있게 된다. 우리는 zK-Rollups의 가능성을 발견한 시점에서 편리함과 프라이버시 어느 한 쪽이 아니라 모두를 누릴 수 있다. 이것이 Zk-Rollups가 우리에게 약속할 수 있는 세상이다.

참조:

[1] https://blog.matter-labs.io/baby-alpha-has-arrived-5b10798bc623

[2] https://pages.cs.wisc.edu/~mkowalcz/628.pdf

[3] https://vitalik.ca/general/2021/01/05/rollup.html

[4] https://www.coindesk.com/tech/2022/07/20/the-sudden-rise-of-evm-compatible-zk-rollups/

[5] https://cryptobriefing.com/the-race-scale-ethereum-zkevm-rollups/

[6] https://docs.zksync.io/dev/contracts/#porting-smart-contracts

[7] https://vitalik.ca/general/2022/08/04/zkevm.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