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일 코인니스 저녁 뉴스 브리핑

PANewsKR
PANewsKR2020. 11. 02. 오후 04:52
[금융위, 3일부터 특금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조인디에 따르면, 11월 2일 금융위원회는 가상자산(암호화폐) 관련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해 11월 3일부터 12월 14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시행령은 가상자산사업자와 가상자산의 범위를 좁히고,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이하 실명계정)의 발급 조건을 구체화했다. 전세계적으로 논의 단계인 트래블룰에 관해서는 규정을 마련하되 시행 시기는 1년 뒤로 유예했다. 시행령 개정안에는 가상자산사업자 및 가상자산의 범위, 신고 서류 및 절차, 실명계정의 개시 기준, 가상자산 이전시 정보제공 대상·기준 등 사항이 규정돼 있다. [암호화폐 사업자, 다크코인 취급 못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가상자산 거래·보관관리업 등 사업자가 취급할 수 없는 대상에 선불카드와 모바일 상품권 등이 추가된다. '다크코인'처럼 거래 내용 파악이 곤란해 자금세탁 방지 위험이 큰 가상자산도 취급이 금지된다. 금융위원회는 2일 이런 내용을 담은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11월 3일∼12월 14일)한다고 밝혔다. 특정금융정보법은 가상자산을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로 정의하면서 사업자가 취급할 수 있는 자산 범위를 제한했다. [고래 주소, XRP·LINK 매집 중] 데일리호들이 샌티멘트를 인용, 고래 주소들이 리플(XRP), 체인링크(LINK)를 축적 중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직후 고래 주소들이 XRP를 매도했으나 한 달 후부터는 다시 매수하기 시작해 10만 XRP 이상을 보유한 지갑이 증가하는 추세다. 4월부터 현재까지 10만~100만 XRP(14525→17387), 100만~1000만 XRP(1307→1336), 1000만 XRP 이상(280→309)을 보유한 주소는 각각 19.7%, 2.2%, 10.4% 증가했다. 체인링크 역시 펀더멘털 개선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샌티멘트에 따르면 상위 100개 비거래소 고래 주소는 지난 12개월 동안 3420만 LINK를 추가 매수했다. [비트멕스 기소 업체 "비트멕스 경영진, CFTC 조사 개시 후 4.4억 달러 인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지난 5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법원에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비트멕스를 트레이딩 사기, 시장 조작, 자금세탁 등 혐의로 고소한 가상자산 업체인 BMA LCC가 "비트멕스의 모회사인 HDR 글로벌의 경영진이자 비트멕스의 공동 창업자인 아더 헤이스, 벤 델로, 사무엘 리드는 비트멕스가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조사 착수 후 불법 행위로 취득한 4.4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비트멕스 플랫폼을 통해 세탁 및 인출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BMA 측은 "지난해 비트멕스 경영진은 플랫폼에 대한 CFTC의 조사 소식을 인지한 후 2019년 10월 15일, 2019년 11월 19일, 2020년 1월 '수익 분배' 라는 명분으로 불법 행위로 발생한 수익을 자신들에게 빼돌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와 관련 HDR 글로벌 측은 "원고 측의 주장은 완전한 허위 주장으로, 이에 대해 법적인 절차를 통해 적극적으로 방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론 "네트워크 일시 멈춤, 악의적 컨트랙트 공격 탓"]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오데일리에 따르면, 트론(TRX, 시총 15위) 재단이 공식 채널을 통해 "2일 오전 발생한 트론 블록체인 네트워크 일시 멈춤 현상은 악의적 컨트랙트 공격 노출이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트론 측은 "4.1 버전 업그레이드 기간 트론 메인 네트워크는 한국시간 기준 11월 2일 07시 14분에 악의적 컨트랙트 공격을 받았다. 공격자는 컨트랙트 작성자 권한을 악용해 공격적 트랜잭션을 생산해 블록생산자들의 채굴 활동을 중단시켰다. 트론 네트워크는 업계 내 가장 활성화된 네트워크 중 하나로, 공격자는 블록 생산 과정을 중단시켜 부당 이득을 챙기려 했다. 트론 커뮤니티는 이상 현상 발생 직후 공격 특성을 파악해 긴급 복구에 나섰고, 블록생산자(슈퍼 대표)들과 긴급 업데이트를 통해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했다. 09시 29분 메인넷은 정상적인 속도로 블록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10시 40분 경 네트워크는 정상 수준을 회복했다. 이번 공격에 자산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2일 오전 트론 블록체인이 약 2시간동안 작동을 멈췄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 통화감독청장 "미국 은행들, 파트너십 위해 코인베이스 등과 접촉"] 크립토뉴스플래시에 따르면 브라이언 브룩스(Brian Brooks) 미국 통화감독청(OCC)장 대행이 최근 로라 신의 언체인드 팟캐스트에 출연해 미국 은행들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기 위해 앵커리지, 코인베이스 등과 접촉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은행들이 암호화폐 기업들을 인수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7월 OCC는 미국 은행들의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제공을 허용한 바 있다. [FTX, 오늘 밤부터 테슬라 등 6개 토큰화 주식 거래지원] 비토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FTX가 오늘 밤 10시 30분(한국시간)부터 애플, 테슬라, 알파벳(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총 6개 토큰화 주식 거래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미국 등 제한 지역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FTX KYC 인증 2단계를 통과한 이용자 중 CM-Equity KYC 인증을 거친 이용자만 6개 토큰화 주식 거래가 가능하다. 앞서 코인니스는 FTX가 독일 금융사 CM Equity AG, 스위스 디지털애셋 AG와 제휴, FTX 플랫폼에서 다수 주식과 암호화폐 거래쌍을 제공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디파이 프로젝트 $KORE 먹튀 의혹... 10억개 코인 발행 후 매도] 11월 1일 오전 1시 30분경 디파이 메타의 한 축을 담당했던 CORE의 밈 형태로 나온 $KORE가 '먹튀'한 것으로 보인다고 코인크레더블이 전했다. $KORE는 일명 ‘짭CORE’류 코인들 중에 가장 거래량이 많았고(하루 약 100만 달러 수준), 개발진들도 디파이 전략들을 새로 고안하고 거래소 상장 등을 추진하며 한 때 250달러에서 거래된 적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11월 1일 오전 1시 26분 경 10억개의 KORE가 임의로 발행되었으며 직후 코인을 전량 매도, 약 899개의 이더리움을 차익으로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10억개의 코인이 시장에 풀리자 가격은 매도 즉시 폭락했으며, 유니스왑의 KORE풀에는 1일 오전 2시 기준 유동성이 단 1달러도 존재하지 않았다.
공유 대상:

작성자: PANewsKR

이 내용은 시장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조언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PANews 공식 계정을 팔로우하고 함께 강세장과 약세장을 탐색해 보세요